지식한스푼

  • 2025. 6. 20.

    by. 웰띠멍이

    목차

      자동차세는 매년 6월과 12월, 두 차례에 걸쳐 부과되는 지방세로, 정해진 자동차세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자동차세 납부 기한의 의미, 지역별 납부 일정 확인 방법, 연장 및 미납 시 벌칙, 그리고 간편 결제 방법까지 모두 살펴보겠습니다.

       

      자동차세 납부 기한

       

      1. 자동차세 납부 기한이란?

      자동차세 납부 기한은 각 지방자치단체가 정한 납부 마감일로, 보통 반기별로 6월 말과 12월 말에 설정됩니다. 예를 들어 서울시의 경우 6월 30일과 12월 31일이 납부 기한이며, 경기도·부산광역시·대구광역시 등 대부분 지자체도 동일한 일정을 적용합니다.

       

      2. 지역별 납부 일정 확인 방법

      1. 위택스(www.wetax.go.kr)
        • 지방세 통합 플랫폼으로, 차량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 자동차세 납부 기한과 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  2.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
        • 예: 서울시 이택스(e-tax.seoul.go.kr), 경기도 이택스(gtax.gg.go.kr)
      3. 모바일 앱
        • ‘정부24’, ‘스마트위택스’ 등 지방세 전용 앱에서 푸시 알림 설정도 가능합니다.

       

      3. 납부 기한 연장 및 미납 시 벌칙

      1) 납부 기한 연장

      • 천재지변·국가적 재난 등 불가피한 사유 발생 시, 해당 지자체에 ‘납부 기한 연장 신청서’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신청 시기: 기한 전 7일 이내 제출 권장
      • 연장 기간: 최대 30일까지 연장 가능

      2) 미납 시 벌칙

      • 가산금 부과: 기한 경과 후 1개월까지 연 3%, 이후 매월 1.2% 추가
      • 체납처분: 재산 압류·공매 등의 행정조치 대상
      • 신용등급 하락: 금융 거래 시 불이익 발생 가능

       

      4. 자동차세 납부 방법

      1. 온라인 결제
        • 위택스,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, 모바일 앱
        • 신용카드, 계좌이체, 간편결제(PAYCO, 카카오페이 등)
      2. ARS 납부
        • 1544-0555 (위택스 ARS) → 차량번호 입력 → 결제 방법 선택
      3. 은행 방문 납부
        • 전국 은행 ATM 및 창구에서 고지서 제시 후 납부
      4. 편의점 납부
        • 고지서 바코드를 사용해 CU·GS25 등 편의점 POS 기기에서 납부 가능

       

      5. 납부 기한 놓치지 않는 꿀팁

      • 모바일 알림 설정: 위택스·정부24 앱에서 ‘자동차세 납부 기한’ 알림을 미리 받아보세요.
      • 자동이체 등록: 카드·계좌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기한 걱정 없이 자동 납부됩니다.
      • 가족·지인 알림: 차량을 여러 대 보유한 가정은 납부 일정을 달리 확인해야 합니다.

       

      자동차세 납부 기한을 꼼꼼히 체크하고, 위의 방법을 활용해 기한 내 납부하시길 바랍니다.